화해와 중재의 국제 분쟁 조정자, Canada - 북핵문제 해결에 돌파구를 열것인가.
캐나다는 아주 오랫동안 국제 분쟁의 조정자로 자임하며 세계 곳곳 다툼이 있는 곳에 평화 유지군의 주도적 일원으로 참여해왔습니다.

UN 평화유지군, UN peacekeeping Force 는 1956년 2차 중동전쟁, 즉 수에즈 위기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영국과 프랑스의 지원을 받는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침공하여 수에즈 운하를 두고 대치했던 상황을 평화적으로 타개하고자 캐나다 외무장관이었고 나중에 수상에 올라 캐나다 역대 가장 위대한 수상으로 칭송받는 피어슨(토론토 공항의 이름으로 명명된) 에 의해 주도되고 창설되었죠.
그후 수많은 국제 분쟁의 현장에서 캐나다는 뛰어난 능력과 헌신으로 각종 분쟁을 조정하고 화해로 이끌어 Reconciliation Canada 라는 명예로운 국제적 평판을 얻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이 끈질기게 요구한 베트남 참전도 끝끝내 거부하여 미국과 소원해지기까지 했지만 캐나다는 화해와 분쟁조정자로 남아 평화를 사랑하는 나라라는 이미지를 굳혀왔지요.(그러나 음으로 양으로 미국을 도와주는 포지션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는 없었지만)

그러던 것이 90년대 초 발칸 반도와 르완다에서의 악명높은 인종청소 전쟁에서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한 것에다 1994년 소말리아에서 임무 수행 중이던 캐나다군에 의한 현지인 린치 사건이 겹쳐 평화유지군으로서의 캐나다 명성은 흠이 가기 시작했고 마침내 보수당 정권에 의해 결정된 아프가니스탄 참전으로 캐나다의 화해와 평화유지라는 국제적 이미지는 땅에 떨어지고 맙니다.
사실 Reconciliation Canada 는 본래적인 의미에서 유럽으로부터 이주해온 근대 캐나다 국가와 11000년전부터 살아왔던 이 땅의 원주민과의 화해를 말합니다. 세계 평화를 위한 국제적 행보는 사실 이와같은 캐나다 내에 존재하는 분쟁과 다툼의 역사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위선과 거짓에 불과합니다.

프랑스와 영국인들을 중심으로 유럽에서 이주하여 건설한 캐나다의 초기 역사는 원주민 학대와 차별, 그들의 문화 언어 말살로 이어진 캐나다의 흑역사입니다. 수많은 원주민들이 최근에 이르기까지도 부당한 대우와 철저한 외면 속에 비극 속에서 살아왔습니다.
캐나다 자유당 정부의 수장 저스틴 트뤼도 수상은 캐나다 정부가 자행해온 원주민 말살 정책과 차별에 대해 눈물을 흘리며 사과했습니다. 국제 분쟁의 화해자를 자임해온 캐나다로서는 만시지탄이나 당연한 귀결입니다.

사실 이 사과는 놀랍게도 전임 보수당의 하퍼 수상때 이미 처음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자신들의 흑역사에 대해 다소 심드렁한 태도를 보이는 보수당 정권이 사과를 하여 보수 본연의 도덕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을 만한 합니다. 참고로 하퍼수상은 제가사는 캘거리 출신이며 제 이웃 동에 주민이기도 합니다.

http://nationalpost.com/news/politics/canada-and-u-s-touting-vancouver-meeting-on-north-korea-but-key-ally-japan-not-on-board

이제 다시 캐나다가 내외적으로 스스로 가진 가치, 화해와 공존, 평화와 조정의 이미지로의 복귀를 꿈꾸고 있습니다. 원주민에 대한 진정어린 사과와 함께 그 시도의 하나가 북미간 화해와 핵위기 해결에 대한 적극적인 역할입니다.

지난 12월 초 캐나다의 외무장관이 제기한 United Nations Command Sending States Meeting 이 바로 그것입니다. 조만간 밴쿠버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회의를 갖자는 것입니다.

UNC 는 한국전쟁때 남쪽 정부를 돕기 위해 UN 에서 조직한 일종의 군사 그룹입니다.캐나다를 포함하여 모두 16개국이며 휴전협정의 당사자로서 여전히 존재하는 조직입니다. 이 조직을 움직여 북쪽과의 대화 테이블을 만들고 거기서 북미간 화해와 함께 북핵문제의 해법을 찾아내자는 것이죠.

이게 잘될지 어떨지는 알 수 없으나(벌써부터 UNC 비회원국 중 초청대상인 일본이 고개를 갸웃하며 미지근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캐나다가 이런 역할을 자임하고 나서는 것에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트뤼도 캐나다 정부는 트럼프 망나니와는 아예 시작도 전부터 각을 세워왔으나 그래도 말이 통하는 틸러슨 국무장관과는 대화와 협력의 끈을 놓치 않았습니다. 캐나다는 중국과도 오랜 신뢰관계가 있습니다. 북한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통로가 되겠죠. 쿠바와도 미국이 따라올 수 없는 깊이로 상호 친분이 좋아 쿠바정부를 통해 북한을 움직일 수 있는 루트를 가지고 있죠.

이런 캐나다가 그래도 유일하게 말통하는 사람인 틸러슨 국무장관과도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으니 지금 북핵문제해결에 어쩌면 가장 적임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크리스티아 캐나다 외무장관과 틸러슨 국무장관이 사전에 충분히 교감하고 시작한 일이니만치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캐나다 수도 오타와의 국회 의사당 건물 앞에서.


+ Recent posts